[뉴스현장] "오리 먹은 뒤 커피도 마셨다"…봉화 농약사건 추가 진술 확보<br /><br /><br />초복을 맞아 오리고기를 먹고 중태에 빠진 마을주민들이 식사 후 경로당에서 커피를 마셨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경찰은 오리고기 외에 다른 음식 등에도 농약이 들어 있었을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 중인데요.<br /><br />경북 봉화 농약 사건의 진실은 무엇일까요?<br /><br />한편 16년 만에 붙잡힌 시흥 슈퍼마켓 강도살인 피의자가 범행을 자백한 가운데, 그가 범행을 실토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밝혀졌습니다.<br /><br />어떤 이유였는지, 임주혜 변호사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경북 봉화의 농약 사건부터 짚어보죠. 피해자들의 위에서 농약이 검출된 게 오리고기 때문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새롭게 제기됐습니다. 피해자들이 그날 공통적으로 먹은 게 오리고기뿐만이 아니었다고요?<br /><br /> 현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단서는 피해자들의 진술일 텐데요. 다행히 피해를 입은 4명 중 1명이 의식을 회복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. 현재 피해자 진술이 가능한 상황인지도 궁금한데요?<br /><br /> 아직 원활한 의사소통은 어렵기 때문에 진술이 가능한 수준까지 건강이 얼른 회복되길 기다려야 하는 상황인데요. 피해자 조사를 통해 확인해야 할 건 어떤 게 있을까요?<br /><br /> 특히 피해자들은 모두 다른 회원들보다 음식점에 늦게 도착을 했고, 5인석 테이블에 함께 앉아 음식을 먹었다가 봉변을 당했는데요. 이들이 왜 당시 현장에 늦게 도착했는지, 왜 특정 테이블에 모여앉게 됐는지에 대한 조사도 이뤄질까요?<br /><br /> 그렇다면 과연 누가 그랬을까, 이 점이 핵심 쟁점인데요. 여전히 용의자가 붙잡히지 않고 있습니다. 현 상황에서 경찰이 용의자를 붙잡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어떤 게 있을까요?<br /><br /> 또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은 경찰이 57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수사전담팀을 편성했다는 겁니다. 경찰이 이렇게 대대적인 수사에 착수한 배경은 무엇일까요?<br /><br /> 다음은 16년 전 발생한 슈퍼마켓 강도살인 사건 짚어보겠습니다. 이 사건은 그동안 장기 미제 사건으로 분류돼 왔는데요. 점점 실마리가 풀려가고 있습니다. 먼저, 어떤 사건이었는지부터 짚어주시죠.<br /><br /> 그런데 강도살인 피의자가 붙잡힌 후에도 혐의를 부인했다고 하는데요. 검거된 지 사흘 만에 결국 범행을 자백했습니다. 결국 자백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있었다고요?<br /><br /> 법원은 16년 만에 붙잡힌 피의자가 도주 우려가 있다고 보고 구속영장을 발부했는데요. 이 피의자의 과거 행적도 논란입니다. 해당 사건이 장기 미제 사건으로 남아있는 동안 또 다른 사기 사건으로 실형을 살기도 했고, 또 한때는 버젓이 건설회사 팀장으로 근무도 했다고요?<br /><br /> 다음은 아들 친구를 아들로 오인해 폭행을 한 사건입니다. 아들과 말다툼을 벌인 후 화가 난 부친이 아들을 때리려다 아들의 친구를 둔기로 폭행을 했다고 하는데, 어떻게 된 사건입니까?<br /><br /> 영문도 모른 채 아들 집에서 자고 있던 아들 친구로선 상당한 충격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는데요. 그런데 설사 침대에 있던 게 아들이었다고 하더라도 폭행이 용인될 수 있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?<br /><br /> 붙잡힌 남성은 현재 술 먹고 홧김에 그런 것이고, 고의로 한 것이 아니라고 진술하고 있는데요. 아들로 착각을 했다고 한다면 처벌 수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 조금 전 대법원에서 아주 중요한 판결이 있었죠. 동성 부부간에 건강보험료 피부양 자격을 인정할 것인지가 뜨거운 이슈였는데요. 먼저, 해당 이슈가 불거지게 된 사연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특히 대법원이 동성 부부간의 피부양자 자격을 인정할지 관심이 뜨거웠던 건, 1심과 2심의 판단도 엇갈렸기 때문이지 않습니까? 1심, 2심 판단이 엇갈린 핵심 쟁점은 무엇이었나요?<br /><br /> 그런데 대법원에서도 2심 판단대로, 동성부부 간에도 건강보험료 피부양 자격을 인정해줘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. 사회적으로도 상당한 파장이 예상되는데요. 오늘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판단,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